심원의마 (心猿意马) 거북선생

애완동물을 싫어하는 내가 얼마전 거북이 한마리를 키워 보고 싶어졌다. 아마도 요즘 시청하는 ‘최후의 승자 사마의’ 드라마의 영향이 큰것 같다. 사마의가 키우는 거북이의 이름은 ‘심원의마’이다. 뜻이 궁금해서 찾아보니 ‘마음은 원숭이 같고 말이 뛰는것 같다’라는 뜻으로 번뇌로 중생의 마음이 잠시도 고요하지 못하고 언제나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미완의 책사’ 시리즈 초반부에 나온 심원의마는 정말 작은 거북이였다 (aka 거북선생). 출사를 명한 조조의 뜻을 따르지 못한다는 구실을 만들기 위해 일부러 두 다리를 부러 뜨리고 휠체어(?)를 타고 가족들과 한적하게 강가를 산책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것이 거북이가 바로 심원의마이다. 처음엔 손바닦에 놓을 만큼 작은 거북이였는데 마지막회에선 두손으로 잡아야 할 만큼 덩치가 큰 거북이가 된다.

순간 이 거북이가 의미하는 것을 생각해봤다. 학자 출신이였던 사마의에게선 무인의 용맹함을 찾아보기 힘들다. 무섭고 어려운 일이 있으면 거북이 같이 납작 업드리고 숨는다. 주인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공손히 조목조목 이치를 따져가며 설명하는 그의 모습은 ‘낭고의 상’을 가진 이리가 아닌 겁 많은 거북이와 더 흡사하다. 또 상방곡 전투에서 가슴을 향해 날라오는 화살을 거북선생이 막아 주었고, 사마의의 둘째 아들 사마소의 출생을 위해 장춘화를 제왕절개한 화타가 사마의에게 ‘거북이 체조’를 전수한다. 그 체조 때문인지 사마의 많은 고초를 겪으면서도 73세까지 장수 했고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게 후세에게 물려주고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사마의의 충직한 집사 후길과 함께 심원의마의 방생 순간을 보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출사한지 만 50년동안 많은 것을 얻고 이루면서 동시에 근심과 걱정도 같이 커짐을 상징하는 것이 바로 ‘심원의마 거북선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타계하는 순간 거북선생을 강으로 떠나 보내는데 이때 아마도 50년 동안 쌓인 모든 걱정과 근심을 떠나 보내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한동안 감상에 젖어 정신줄을 놓고 있다가 거북이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것에 대해 조사를 했는데….. 거북이게는 salmonella균이 있다고 한다. 바로 식중독을 유발 시키는 균이라고 한다. 그런데 드라마상에선 사마의와 장춘화가 같이 식사를 하면서 거북이를 맨손으로 만지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Posted in 나의 경영관/인생관 | Leave a comment

평범한 삶을 거부하다가 평균이하의 삶을 살게 될수도 있습니다.

3차 인터뷰 때에 면접관으로 들어 갈때가 종종있다. 3차 인터뷰까지 온 지원자들은 대부분 최종합격이 거의 보장 된 사람들인데 가끔씩 장난기가 발동해서 나는 지원자들에게 짓궂은 질문을 할 때가 있다. 그중 삶의 가치 평가기준을 테스트한 질문중 단골손님은 바로 ‘당신은 평범한 삶을 살기 원하나요 아니면 특별한 삶을 살기 원하나요?’이다.

25살 미만의 지원자들은 자기들만이 지향하는 ‘특별한 삶’이 있다. 그중 한가지가 바로 ‘여행’인데 단순히 짧게는 1주 길게는 4주 정도의 여행이 아닌 6개월 이상의 장기여행이다. 회사의 입장에선 직원에게 6개월 이상의 장기 휴가를 지원하기 어렵다고 말을 하면 그들은 그럼 퇴사를 하고 장기여행을 마치고 다시 돌아오면 새로운 직장을 구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들은 2년에 한번씩 외국에서 6개월 이상을 장기 체류를 하면서 다양한 문화체험을 하는 것이 ‘특별한 삶’이라고 한다.

그들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 ‘만약 짧게는 6개월 혹은 길게는 1년씩 외국에서 생활을 하다 호주로 다시 돌아오면 career 발전에 장애요소로 작용 될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나요?’ 그럼 그들은 ‘나는 YOLO족입니다. 인생은 짧고 즐기면서 살아야 해요.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것이니 별로 걱정하지 않습니다. 돈은 쓰라고 있는 것이지 모으라고 있는 것이 아니니까요’라고 대답한다.

그럼 그들에게 몇가지 숫자를 읽어준다. ‘2017년 6월 기준으로 호주에서 19개 industry의 평균연봉은 8만4천달러입니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호주에서 975만 가구의 연평균 소득이 16만달러 이상입니다. 당신은 ‘평균’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평범’하다고 생각이 드나요? 평균을 넘어서야 ‘특별함’에 이르를수 있지요.’ 만약 당신처럼 2년에 한번씩 직장을 그만두고 6개월 이상 외국에서 장기체류를 한다면 과연 당신은 ‘평범’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평균치’ 수입을 꾸준히 얻을수 있다고 과연 생각하나요?

대부분 여기서 지원자들은 침묵이 시작 된다. 그리고 난 말을 계속한다. ‘인생은 마라톤과 흡사합니다. 순발력 보단 지구력이 더 필요하지요. 청춘이라는 고귀한 이 순간을 자기가 반드시 해야 되는 일을 알면서도 고의적으로 그것을 선택하지 않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취한다면, 순간의 행복을 평생의 후회와 맞바꾼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여기서 어떤 지원자들은 이렇게 말을 하고 최종면접을 마치려고 한다. ‘저는 평범함을 거부합니다. 전 꿈이 있고 회사와 사회에 impact를 주고 싶습니다. 그런데 애기를 들어 보니 이 회사의 기업문화와 제 취향은 잘 맞질 않네요. 다른 직원을 찾아 보시죠’. 그럼 나의 대답은 ‘평범한 삶을 꾸준히 유지하여 평균 이상이 되려는 그 힘도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힘만큼 고귀하고 위대함을 기억하세요. 우리 주의엔 평범해 보이지만 특별한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여기서 이들에게 한가지 공통점이 있지요. 그들은 스스로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당신은 진정으로 특별하다고 생각하나요?’

Posted in 나의 경영관/인생관 | Leave a comment

위조지폐를 육안으로 구별 하는 방법은?

MGSM 경영행정 대학원을 졸업하고 얻은 것중 가장 큰 것이 있다면 바로 4명의 ‘동무’ (associate)이다. MBA를 마치고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서 자주 만날수는 없지만 그래도 일년에 한번씩은 꼭 만나서 서로의 상황을 체크하고 자신의 연봉과 세금을 공개하고 이룬 일과 이루지 못한 일들을 PPT 파일로 (슬라이드 2장 미만) 만들어서 대학원에서 공부방을 잡아 같이 나눈다.

D는 수학의 천재이다. 보험 계리사 출신인데 Excel로 정말 무엇이든지 만들수 있다. 특히 5명이 모여 식사를 마치고 더치 페이를 할 때 그의 암산 실력은 정말 최고이다. C는 프랑스에서 태어난 기술자인데 요즘엔 비행기가 비상 착륙을 할 때 활주로의 거리, 비행기의 무게, 속도등을 계산하는 일을 한다. G는 ‘걸어 다니는 구글’이라고 불릴 만큼 지식이 풍부하다. Photographic memory가 있어서 자기가 관심 있는 분야는 한번 보고 이해하면 대부분 기억한다. 마지막으로 P는 감정사이다. 쉽게 말해 정품과 모조품을 구분하는 일을 하는데 요즘엔 위조지폐 (counterfeit)를 구별하는 일을 한다고 한다.

우린 P에게 물었다 – “육안으로 위조지폐 구별이 가능한가? 만약 가능하다면 성공확률은 얼마나 되는가?” P는 자신 있게 대답했다 –  “아마도 10개중에 8개는 구별 가능 할꺼야.” 우린 P에게 다시 물었다 – “그럼 육안식별을 위해 가장 먼저하는 작업은 뭔가?” P는 자신 있게 또 대답했다 – “사람을 관찰하는 것처럼 하면 되지. 지나치게 화려하게 지나치게 완벽해 보이는 사람은 대부분 자기의 결점을 화려함으로 가리려는 경향이 강해. 위조지폐도 마찬 가지야. 지나치게 깨끗하고 정교하며 화려한 느낌이 드는 지폐는 위조지폐일 가능성이 높거든.”

P의 말을 들은 우리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잠시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 G가 웃으면서 이런 말을 했다 – “그런 (화려해 보이려는) 사람들은 마치 맥주 같아. 시간이 지나면서 거품이 빠지면 내용물의 다 보이고 줄어 버리니까. 우린 와인 같은 사람이 되야 되. 시간이 지나면서 더 성숙 해지고 맛과 향이 진해지는 그런 사람. 우리 내년엔 더 성숙 해져서 만나자.”

Posted in 나의 경영관/인생관 | Leave a comment

“그 남자 키가 180cm가 안되? 그럼 장애인이네. 장애인.”

지난 날 홍콩을 경유해서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를 타기전에 Cathay Pacific (CX)의 The Pier Business 라운지에서 드라미 마티니를 한잔 마시려고 들렸다. 홍콩 국제공항엔 CX가 운영하는 비지니스 라운지가 4개가 있는데 그중 The Pier 라운지가 가장 최근에 오픈 했고 고급스럽다는 평이 있어서 탑승구가 정해지기 7시간 전에(?)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샤워를 끝내고 따뜻한 차를 한잔 마시고 bar로 향했다. 2008년 11월부터 지금까지 탑승전에 드라이 마티니를 마시는 것은 일종의 ritual이다. 평상시와 같이 주문을 하고 한모금 마신 후에 아이패드를 꺼내어 밀린 이메일을 읽어 보려는 순간, 옆에 앉아 있는 여성이 술에 취한 목소리로 “Champagne please~”라고 바텐더에게 주문을 했다. 순간 나와 눈이 마추진 바텐더의 눈이 커지는 것을 보아 그 여성이 많은 양의 술을 마신 것을 직감했다.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이메일을 하나 둘씩 읽어 내려가는 순간 귀에 익숙한 소리가 들렸다. 바로 카톡으로 들어 오는 전화벨소리였다. 전화를 받은 그 여성은 한국어로 통화를 시작 했고 지인의 남자친구에 대해 애기를 했다. 그때 “그런데 그 남자는 키가 몇이야? 뭐? 180cm가 안되? 그럼 장애인이네 장애인~”라는 말을 듣고 순간 놀라서 오른손으로 잡고 있던 마티니잔을 놓쳐 테이블에 엎지르고 말았다. 센스 있는 바텐더가 마티니를 다시 만들어 주어서 나는 감사의 인사를 하고 자기를 옮기기 전에 ‘180cm는 이하의 남자는 장애인’이라고 말한 그녀에게 이렇게 말을 건냈다. “실례합니다. 저는 장애인입니다. 키가 165cm이니까요. 장애인 옆에 앉아 계시면 불쾌하실것 같아 제가 자리를 피해 드리겠습니다.”

41년 동안 외소한 체구와 작은 키로 살면서 크게 불편 해 본적이 없었는데 난생 처음으로 ‘장애인’으로 구분이 되고 보니 묘한 기분이 들어서 호주에 계신 어머니에게 “엄마 아들은 왜 키가 작지?”라는 문제를 보냈더니 다음 날 이렇게 답장이 왔다 – “넌 또 요즘 무슨 드라마를 보니? 라이프에 나오는 구사장 (배우 조승우) 봐라. 남자는 역시 키가 아니라 능력이다.”

Posted in 나의 경영관/인생관 | Leave a comment

남의 가난과 불행을 이용해서 선량해 보이고 싶은 욕망

얼마전 에들에이드에서 사는 대학원 동기가 시드니에 2주 정도 머물게 되어 오래간만에 담소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수염과 머리를 깔끔하게 정리를 하면 영화 Thor의 주인공인 호주 배우 Chris Hemsworth의 외모가 흡사한 그가 얼마전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빵집에 커피와 빵을 한조각 사러 갔더니….. 빵집 주인 아주머니께서 돈을 받지 않고 그냥 주셨다고 좋아했다. 순간 ‘혹시 너 그때 머리는 산발이였고 수염은 지저분하게 덥수룩 했으며 반바지 차림에 슬리퍼를 끌고 갔니?’라고 나의 질문에 그는 호탕하게 웃으며 ‘맞아! 나 그때 패션이 완전 노숙자 같았어’라고 대답했다.

가끔씩 시티에 일이 있어 나가게 되면 사람들이 길거리에 앉아 있는 노숙자들에게 적선을 하거나 음식을 주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럴 때 마다 ‘그래도 시드니가 그렇게 강팍한 도시는 아닌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든다. 순간 최근에 직원에게 들은 ‘노숙자 헤프닝’이 생각났다. 요즘 유행(?)하는 것이 바로 노숙자들과 같이 사진을 찍는 것 – 노숙자들에게 돈을 주는 장면, 음식을 전해 주는 장면, 포옹 해주는 장면, 기도 해주는 장면들을…..

만약 제 3자가 위의 장면을 자연스럽게 찍는 다면 문제가 될 것이 없지만 위의 장면들을 인위적으로 연출해서 친구에게 찍어 달라고 하는 자의 선행의 동기가 참으로 의문이다. 얼마전엔 노스 시드니에서 이런 반복적인 연출을 강요 당한 노숙자가 화가 나서 사진을 찍어 달라는 사람을 폭행한 사건과 노숙자의 동반견이 사람을 물어 버린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전에 돌아가신 사장님께서 내게 해주신 말씀이 생각 났다 – ‘자뻑용 선심은 받는 자에겐 나중에 상처가 될수가 있다.’ 순간 인간의 선량해 보이고 싶은 욕망 만큼 이기적인 마음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의 가난과 불행을 이용해서 자뻑용 선심을 베풀고 그것을 개인 이미지 관리 위해 사용한다는 생각이 지금 마시는 커피의 맛을 더 쓰게 만드는것 같다.

Posted in 나의 경영관/인생관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