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듣는 애기다 – “이사님 or 집사님은 드라마 같은 삶을 사세요. 그런 삶을 사는 비결이 뭔가요?” 나의 대답은 언제가 간다명료형 – “자기 인생의 주인공이 되세요. 남의 인생의 엑스트라나 조연이 되지 말고요”. 너무 추상적인 대답인가? 그럼 논리적인 접근을 한번 시도해 본다.
난 한국 드라마를 즐겨본다. 예전엔 예쁜 예배우들이 눈물을 흘리는 슬픈 장면이 좋았는데 지금은 멋진 남자 주인공이 나오는 드라마가 좋다. 그리고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한가지 얻는 또 하나의 기쁨은 내용 전개를 대부분 정확하게 짐작 할수 있고 작가가 시청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철학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내 삶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내 나름데로 각본을 짠다 – 내가 할수 있는 일, 내가 할수 없는 일, 내 주의에 있는 사람들의 관계와 앞으로 일어날 일들에 대한 정확한 계획과 분석을 통해서 각본을 만든다. 만드는 물론 내안에서 조정 불가능한 요소들이 있고 생각치 않은 변수들의 발생으로 종종 각본을 수정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여기서 재미 있는 것은 각본을 수정 할때는 반드시 내 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수정한다. 이러는 과정중에 내 옆에서 중요한 역활을 맏았던 조연인 사람이 갑자기 엑스트라로 사라 질수도 있고, 엑스트라가 아닌 그냥 촬영중에 지나가는 사람과 인연을 맺어 내 인생 드라마에 중용한 위치를 차지 하는 사람도 생긴다.
드라마 같은 삶은 어떤 의미로 드라마에서만 가능 할것 같은 삶을 사는 것으로도 해석한다. 31살 되기 전에 대기업의 재무관리 이사가 되고 3명의 건강하고 귀여운 자녀와 현숙한 아내를 둔 나에겐 이것이 지극히 평범한 일반적인 삶일 뿐이다. 이런 평범한 내용을 드라마에 한 부분에 너무 자세히 묘사하면 진부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난 내 나의에 맞지 않는, 시기에 이른 것들을 이룬다. 예를 들어서 35살에 호주 명문대 강단에 서서 3학년 학사 과정 학생들에게 초대 강사로 초청을 받아 강의를 한것이다. 이렇게 평범한 사람들의 평균적 생각을 깨면 이것은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꼭 드라마 같은 삶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일들은 평범한 사람들에겐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일일드라마가 좀 더 대중적이고 친숙하며 시청율이 높은 편이다. 왜냐하면 신경을 곤두세워서 시청 할 필요도 없고 남자 주인공과 여자 주인공의 사이에서 일어 나는 갈등과 삼자와의 삼각관계에서 스트레스 받을 필요도 없다. 일일드라마의 소재는 평범한 생각을 가지고 평범한 생화를 하는 사람들이 부담감 없이 쉽게 받아 들일수 있기 때문이다. 평범함은 친숙한 느낌과 안정감을 주지만 쉽게 익숙해 지고 친숙이 시간이 지나면 진부함으로 바뀐다. 결국은 평범한 삶은, 즉 수동적이거나 능동덕인 변동과 변화가 없는 삶은 지루해지기 쉽고 신선함과 신비함이 저하된다. 지나치게 기복이 심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부과하는 삶 보다는 자기의 능력안에서 삶의 변화를 자유자재로 조정을 하면서 자신의 삶을 드라마틱하게 만드는 것도 삶의 묘미라 할수 있다.
내 인생 드라마의 주인공은 바로 나다. 난 평범함에서 얻어 지는 평안함 보다는 굴국 있는 삶에서 얻어지 변화가 더 좋다. 가늘고 길게 그리고 굴곡 없이 너무나도 평단하고 지루하면서 재미 없는 인생의 주인공이 될 바에 차라리 그냥 다른 사람 인생의 정체성도 존재성도 기억 되지 않는 엑스트라로 남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