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첫 수업을 시작 할 때 학생들은 돌아가면서 자기 소개를 한다. 자신이 왜 MBA 과정을 시작하게 됐는지, 또 자신의 학벌과 현재 직업이 무엇인지 애기를 한다. 어떤 이들은 자기 명함을 한장씩 한장씩 학생들에게 돌리면서 자기 소개를 하고, 또 어떤 이들은 ‘회사에서 공부하라고 시켜서’라고 간단명료하게 애기한다.
구석에 앉아 있는 학생의 자기소개 차례가 되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일을 마치고 저녁수업에 참석을 하기 때문에 양복 차림이 많다. 그런데 그 학생은 정리 되지 않은 덥수룩한 머리와 수염, 그리고 낡은 티셔츠와 반바지 차림이였다. 자기 직업을 소개를 할 때 그는 “I’m a factory worker”라고 했다. 즉 공장에서 일을 한다는 것이였다. 순간 나는 몇명 학생들의 비아냥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저녁식사를 마치고 이제 조별 숙제를 하기 위해 팀을 구성하는 시간이 되었다. 난 자리를 그 학생 옆으로 옮기고 반갑게 인사를 했다. 그날 나도 반바지와 티셔츠, 그리고 고등학교 때 메고 다녔던 파란색 백팩을 가지고 가서 그와 드레스 코드가 잘 맞았다. 몇마디 나누어 보니 미국에서 온지 알았고 자기도 회사에서 MGSM에서 MBA 과정을 공부를 하라고 보내주었다고 했다.
조별 숙제를 위해선 최소 3명의 학생이 팀을 조직해야 된다. 그런데 직업이 ‘공돌이’인 학생과 볼품 없은 작은 동양인이 모인 우리 팀은 비호감으로 찍혔는지 그 누구도 우리 팀에 합류하려 하지 않았다. 나중에 첫수업을 빠진 학생이 합류하는 바람에 팀 붕괴를 막을수 있었지만 우리 팀을 보는 다른 학생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6주간의 수업을 마치고 조별 프리젠테이션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팀이 최고 점수를 받았다. Strategic Management 과목이였는데 Boeing과 작은 항공기 제조 업체인 Embraer와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의 경영전략을 제시하는 과제였는데, 그는 Boeing에 대한 소개와 현재 시장 흐름과 대응책 및 항공기 개발 진행 사항들을 자신 있게 애기 했다. 많은 학생들은 그의 발표에 매료 되어서 넋을 잃고 있었다.
프리젠테이션이 끝나고 학생 한명이 짖궂은 질문을 그에게 했다. ‘당신이 Boeing사에 대한 내용은 인터넷에 나온 내용과 차이가 있다. 당신의 제시한 내용을 신뢰 할 수가 없다. 이 내용들의 근거 자료는 어디 있나?’라는 질문의 그는 그에게 이런 반문 공세를 했다.
“혹시 Boeing사의 공장이 어디 있는지 아세요? 워싱턴주의 Everett, 바로 Seattle위에 있지요. 공장의 크기는 디지니 랜드보다 훨씬 커요. 혹시 Boeing 747의 날개 위에 집이 몇개 올라 갈수 있는지 아세요? 방3칸짜리 집 4채가 올라갈 정도로 큽니다. 이 날개로 440톤의 동체를 날개 할수 있어요. 1초에 연료가 얼만큼 소모 되는지 아세요? B747의 엔진 한개당 5리터의 연료를 1초마다 소모를 합니다. 그리고 이 날개엔 60톤의 연료가 저장이 됩니다. B747 한대를 생산하기 위해 6백만개의 부품이 사용 되는데 그중 절반이 나사입니다. 그중 또 그 절반이 날개를 만드는데 사용 되지요. 날개에 사용 되는 볼트를 하나 하나 손수 점검합니다. 그리고 저는 lift-drag ratio를 계산해서 연료 사용을 최적화 합니다. 그래요. 저는 공장에서 일합니다. 바로 Boeing사의 공장이요. 저는 B747 항공기의 날개를 만드는 ‘공돌이’입니다. 이제 제 말을 신뢰 하실수 있나요?”교실은 순간 고요해졌다.
외모와 스펙이 개인간의 우열과 성패를 가름한다고 믿는 어리석은 외모 지상주의에 빠져 있던 학생들에게 일침을 가한 그가 수업을 마치고 내게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번 프리젠테이션 너무 잘한것 같아. 우리 다음번에도 같이 할까? 아 그리고 나한테 경리사원이라고 애기했지? 오늘 발표 할 때 네 모습 보고 거짓말인지 알았어. 이제 너의 정체를 내게 알려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