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작년에 낸 세금이 얼마인가요?이다.
어제 미친척하고 MGSM 동창회에 초대를 받아서 퇴근후에 잠시 참석을 했다. 시티에 있는 Aurora Bar에서 모임을 가졌는데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였다. 단순한 친목의 자리가 아닌 ‘네트워킹’이라는 명문 아래 가식적인/인위적인 인맥형성에 다들 눈이 멀었다.
내가 어제 받은 명함의 갯수를 세어 보니 총 22개였다. 물론 22명 이상의 사람들을 만났지만 내 주머니에 있었던 명항의 갯수는 22개였다. 점심을 먹으면서 하나 둘씩 체크를 하는데 벼러별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내 명함 케이스를 주머니에서 꺼내 흔들어 보았다. 소리가 나질 않았다. 이유는 어제 난 그 누구에게도 명함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내가 명함을 사용하는 용도는 딱 두가지이다 (일 때문에 만나는 거래처는 제외) –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꾸준한 교류가 필요한 가치 있고 영향력 있고 도움을 주고 받을 사람, 그리고 상대하기 싫어서 그냥 초반에 기선 제압용으로 주는 경우. 이제 나이 먹고 좀 철이 드니까 후자쪽 용도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난 친환경 정책을 선호하는 사회지도층으로써 난 종이 낭비를 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22명의 사람들과 가볍게 인사를 하고 약간의 탐색전을 한 후에 socialising하는 형식적인 대화가 왔다 갔다 하는데 결국은 자기들의 성공담을 거창하게 늘어 놓으며 자기가 MBA를 MGSM에서 마친후에 얼만큼 잘나가지에 대해서 극대적 미화를 시킨다. 난 그냥 그의 눈을 맞추면서 그들의 무용담을 정중하게 들어주는 척 했다. 그들이 나에게 질문을 할 차례다. 물어보는 방법과 문장의 형식과 단어의 선정을 다르지만 결론은 ‘넌 일년에 얼만큼 버냐’라는 것이 그들에게는 중요하다. 그래서 난 이렇게 대답했다 – ‘난 작년에 세금을 6만달러를 ATO에 지불 했다’라고. 머리가 있는 사람들은 세율에 따른 연봉을 자동적으로 계산 했을 것이다. 그때 그들 주머니에서 명함이 나오기 시작하며 그들의 태도와 언행이 갑작스럽게 달라지기 시작한다. 마치 고급 관리가 암행어사로 감찰 나온자가 국왕임을 알아 냈을때의 표정이라고 할까나…
그리고 난 이야기를 계속 이었다 – ‘사람들은 대부분 매출액에 집중을 한다. 그래서 연봉이 얼마인지 페키자 얼마인지 어떤 특혜를 받는지에 대해서 집중한다. 하지만 나의 생각은 다르다. 정직하게 벌고 정직하게 신고하고 정직하게 세금을 국가에 지불하는 것이 MGSM에서 MBA를 마친 엘리트로써, 모범적 사회 지도층으로써, social responsibility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양심적인 시민으로써, 국가에 세금을 얼만큼 정직하게 지불 했는지가 사람의 경제력 평가 기준으로 사용 되는 것이 더 올바르다’라고…. 내 말을 듣고 동감하면서 고개를 끄떡이는 사람도 있는가하면 고개를 숙이고 자리를 쓸쩍 피하는 사람들도 몇명 있었다. 아마도 그들은 절세라는 명목 아래 교묘한 탈세를 행함으로 사회지도층의 양심과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정신을 회손 시킨 사람들이였을 것이다.
오후 늦게 부활절을 잘 보내라는 이메일이 왔는데 알고보니 어제 만났던 사람들중에 한명이였다.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회계사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데, 정직과 신용을 바탕으로 한 회계사인 자신이 교묘하게 절세를 가정한 탈세를 한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해서 어제 내가 한 말을 듣고 많은 깨닮음이 있음과 동시에 많이 부끄러웠다고 고백 했다.
난 사람들에게 젊은 사람들에게 항상 이렇게 애기한다 – ‘열심히 일하고 정당하고 정확하게 세금을 내라. 그래야 떳떳하게 돈을 벌고 떳떳하게 쓸수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