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을 읽는 모든 사람들이 리더가 되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내 책장엔 책들이 별로 없다. 아마도 2009년에 MBA를 끝내고 나서 경영관리 서적이나 인문과학 서적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떨어졌다. 그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 봤다. 그 이유는 요즘 책들은 나에게 발상의 전환점을 제공할 만한 신선한 충격을 주지 못한다. 왜 그럴까? 바로 사람들의 생각은 거기서 거기일뿐이다. 예전에 읽었던 책들을 오래간만에 다시 읽으면 새로운 기분이 들까? 이유는 바로 인간의 기억력이 생각보다 짧기 때문이다. 예전에 유행 했던 패션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유행을 타기도 하며 예전엔 비효율적/비인간적인 경영방침이 지금 같은 불경기에는 가장 효과적인 긴축정책으로 여겨진다. 예전에 알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잊어 버렸고 그런데 필요한 순간이 와서 다시 한번 보니 신선한 충격을 줄때가 많다. 리더쉽에 관한 책에 대해 애기를 하려고 했는데 왜 이야기가 이렇게 나가지?
원점으로 돌아온다. 리더쉽에 관한 책이 시중에 정말 많다. 성공하는 리더의 몇가지 습관/법칙 이런 자극적인 제목을 가지고 출판 된다. 참고로 ‘성공하는 리더의 습관’이라는 제목 보다는 ‘성공하는 리더의 10가지 습관’이라는 제목이 좀더 사람들의 호기심과 책을 읽고 싶은 충동심을 자극한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나도 이 10가지 습관을 가지면 성공적인 리더가 될수 있다’라는 생각을 아주 자연스럽게 가지기 때문이다. 즉 숫자로 셀수 있는 측정 할수 있고 분명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된 것에 사람들은 좀더 성공 확율이 높고 적용하기 쉽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제목을 ‘성공하는 리더의 180가지 습관’하면 사람들은 관심도와 흥미도가 떨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180가지의 습관은 숫자가 너무나 많아 부담이 되고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지기 때문이다. 역시 많다고 해서 항상 다 좋은것으로 인식 되지는 않는다. 또 애기가 옆으로 샜다.
원점으로 두번째 돌아 온다. 내 책장엔 리더십에 관한 책이 없다. 왜냐하면 난 리더로써의 자격과 자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부족한 자격과 자질은 책을 읽고 교육을 받으면 어느 정도는 채워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쉽게 예를 들어 애기하면 맹도견으로 사용 되는 래브라도를 아무리 훈련 시켜도 독일 세퍼드가 될수는 없는 것이다. 이렇게 개들도 자신의 독특한 능력과 특성이 있는데 사람들도 당연히 마찬가지다. 한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있는가 하면 그 리더를 돕는 추종자/협력자들이 있고 그냥 위에서 이끌어주는데로 지시하는데로 따르는 군중들이 있다. 난 지난 35년간을 살아 오면서 느낀점은 난 리더로써의 자질은 부족하지만 리더를 보필하고 돕는 협력자의 자질은 높다는 것이다. 그래서 난 leadership 보다는 followership에 대해서 공부를 많이 했다. (followership에 대한 애기는 다음에 하는 걸로)
사람들이 종종 리더쉽에 관한 책을 추천해 달라고 한다. 그때마다 난 이런 질문을 한다 – “당신은 과연 리더의 자격과 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이런 질문을 받는 사람들의 표현은 별로 좋지 못하다. 이때 다음 질문을 한다 – “당신은 리더쉽에 관한 책을 읽는다고 해서 당신이 리더가 될 것이라는 생각합니까?” 대부분의 대답은 “아니요”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왜 리더쉽에 관한 서적을 읽으려고 하는 것일까? 리더가 되고 싶어서 아니면 자신이 리더로써의 자질과 자격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검토와 평가가 필요 해서 그런것이지…
혈당이 떨어져서 그런지 오늘 글을 적으면서 집중력이 많이 감퇴 된것 갔다. 간단하게 샌드위치 먹고 오늘 내 머리속에 있는 생각은 다음에 표현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 접어야 겠다. 손자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했고 소크라테스는 네 자신을 알라 라고 했다. 그냥 나에겐 다행이다. 난 왕의 덕목은 갖추지 못했어도 왕을 보좌하는 재상의 덕목은 잘 갖추어서. 그래서 난 CEO 자리보다는 CFO 자리가 더 좋은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