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을 뺀 삶을 살자.
지난주 한국에 있을때 지인들과의 소중한 만남을 축하 하기 위해서 값비싼 샴페인을 몇병 따게 되었다. 별로 능숙하지 못한 웨이터가 샴페인을 급하게 잔에 부었을때 발생하는 거품을 보았다. 여기서 발생한 거품은 샴페인의 급격한 탄산가스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줄이고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 샴페인의 고유한 신선한과 자극적인 맛을 보존한다. 그리고 발생한 거품이 샴페인을 더욱더 우아하게 만든다.
여기서 나도 모르게 한가지 느낀점이 있었다. 처음 샴페인을 따르는 잔에 발생한 거품이 잔을 꽈악 채웠지만 시간이 지나가면 그 거품은 사라졌다. 거품이 사라진후에 잔에 남은 샴페인의 양은 굉장히 적었다. 잔에서 생긴 거품의 샴페인의 양보다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순간 나의 실속 없는 삶이 아닌가라는 질물을 내 자신에게 해본다. 정답은 내 삶에 지금 많은 거품이 껴있다는 것이다.
나를 오랫동안 지켜보고 응원 해주신 지인들이 동의하는 것은 바로 오랜 기간동안 내가 내 자신을 쉬지 않고 개발 시키려고 노력 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잔에 남은 샴페인이다. 하지만 지금 첨잔이 되어가고 있는 이 순간 거품이 많이 껴있음을 안다. 내가 여기서 말하는 거품은 다름 아닌 내 자신이 만든 인맥이 아니라 남이 가지고 있는 인맥을 사용함으로 인한 미래의 시너지 효과이다. 여기서 말하는 시너지 효과는 증명 된것도 아니고 약속이나 보장된 것도 아니다. 그러나 what if라는 가정법에 의해 추상적으로 계산된 미래 가치이다. 이것이 내가 말하는 ‘거품’이다.
거품은 그냥 강한 바람이 불면 날아가 버린다. 아무런 힘도 없고 가치도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소녀시대의 수영의 친구가 소향이고 내가 소향의 친구라고 해서 내가 수영과 절친 사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난 소향을 다리로 사용해서 수영과 친구가 됨을 기대하는 것이 바로 ‘거품’이다. 너무 추상적인 예인가? 쉽게 예를 들면 연애인인 친구가 있고 그와 어울린다고 해서 내가 연애인이라는 착각에 빠지는 것이 바로 ‘거품’이다. 내 경우를 애기해 볼까? 대학교수님들과 친분이 있고 초청 강사로 강단에 섰다고 해서 내가 명예교수의 자리를 얻을 거라는 착가이 바로 ‘거품’이다.
‘거품’이 많이 낀 내 인생….. 누군가의 인맥을 사용해서 나의 인맥을 넗히려는 비겁한 나의 인간적 권모술수와 정치편력…. 아마도 내 실력만 가지고는 더 이상의 성공은 불가능하다 여기고 이젠 인맥을 사용해서 성공을 꿈꾸는 나의 어리석은 시도를 생각하니 토하고 싶다. 언제부터 내가 이렇게 치사하게 됬는지… 언제부터 내가 ‘난 실력으로 승부 할꺼야’에서 난 ‘줄을 잘 서서 출세 할꺼야’라고 나의 신념이 변질 됬는지 잘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