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사원 2명을 고용한지 3주가 됬다. 원래 내 밑에 있었던 인턴은 아닌데 자기의 직속 상관이 외국으로 나간후로 내 밑으로 들어 오게 됬다. 중국에서 유학을 와서 시드니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별 볼일 없는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인턴 사원으로 채용 되었다. 남들은 파릇파릇하고 일을 잘 한다고 했는데 내가 직접 일을 시켜 보니까… 전혀 아니다.
우선 직장 생활에서 상사에 대한 표현이 부적절하다. 나에게 쓴 이메일의 내용과 tone 그리고 단어 선정과 표현법을 보니 신경을 쓴 흔적은 보이지만 내가 읽고 난후에 받는 단 한가지 느낌은 바로 ‘대가리에 피도 않마른 새끼가 돌았나?’ 난 이런면에선 용납을 못한다. 그래서 그냥 반격을 했고 한번 밣아 버린다. 그러다가 어디서 이런 만용이 생기는지는 몰라도 다시 한번 반격한다. 그리고 이번엔 일어서지 못하게 철저하게 밣아 버린다. 그제서야 꼬리를 내린다. 그리고 혼자 중얼거린다 ‘역시 generation x의 나쁜 습성은 어쩔수가 없구나’.
자료 조사 및 분석을 하나 시켰다. 그런데 회계학의 기본을 무시한채 어디서 줏어 들을 것을 장황하게 설명한다. 전혀 뜻도 이해하기 못하고 알아듣지도 못한 것들을. 순간 열받아서 물어본다. ‘그만. 너 지금 니가 무슨 애기 하는지 알고 지껄이냐 아니면 남이 말한것 그대로 앵무새 같이 반복하냐?’ 그러면 또 반사적인 변명을 시작한다. 그럼 또 나의 반격 ‘첫째, 대꾸하지 마라. 둘째, 대꾸하지 마라. 셋째, 대꾸하지 마라. 넷째, 대꾸하지 마라. 그리고 너의 생각과 너의 의견은 내가 듣고 싶을때 내가 필요할때 애기해라. 물론 내가 너 같은 풋내기에게 조언을 구하면 자결해야지’.
작은 중소기업의 인턴 사원이다. 대기업에서 고용한 엘리트 인턴이 아니다. 그런데 왜 자기가 그렇다고 생각을 할까? 상황 판단 못하고 자신의 실력을 과대 평가하고 substantiate되지 않는 자신감은 과연 어디서 온것일까? 물론 대학교에서 어떻게 사회 생활을 하는지 가르쳐 주지는 않지만 기본은 바로 이것이다. ‘묻기 전에 먼저 해답을 찾아라. 모르면 공손하게 물어라. 같은 질문 두번하지 마라. 상사에게 인정 받으려면 시키지 않는 것 하기 전에 시킨것 부터 제대로 마쳐라’. 거참 이것이 사회 생활의 기본 지침 사항인데 어째서 이런것을 모르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