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나한테 그랬다. 왜 자기한테는 이런 저런 애기를 않해주고 내 ‘기린아’에게만 하냐고… 이유는 간단하다. 상대편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 정보의 양과 질이 결정 되기 때문이다.
하루하루 하루살이 같이 바둥바둥 사는 사람에게 Gulfstream G250 (http://www.gulfstream.com/products/g250/)을 사는 것이 인생의 목표중에 하나라고 애기하면 공감대형성은 물론 불가능하고 ‘미친놈’의 허풍으로 들리것이다.
나보다 젊은 사람들과 애기 할때 이런 애길 자주 듣는다. 그들의 반응을 보기 위해서 그들에게는 실현불가능한 꿈을 애기한다. 아쉽게도 10명중에서 9명은 이렇게 애기한다. ‘그냥 하나님께서 주신것 가지고 감사하면서 분수에 맞게 욕심없게 살겁니다’ 혹은 ‘오르질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고 했는데요"라고… 이 애기를 듣는 순간 난 그사람의 이름과 존재성을 잊어버린다.
사람이라면 특히 남자라면 뭔가 높은 것을 목표로 삶고 가질려고 이루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정석으로 배웠다. 어찌하여 분수에 맞게 감사하면서 살자라는 관용적인 어구를 사용해서 자신을 낮게 만들고 자신을 왜 더 무능력하게 만드는 것인가? 그렇게 비굴하게 자신을 위로하고 싶은 것인가?
‘왜 저한테 그런 애길 않하세요?’라고 물어 본 자에게 이렇게 대답하고 싶다. 난 미래를 같이 하고 싶은 자에게 나의 꿈을 애기하고 지식과 경험을 전수하며 공유한다. 높게 달린 사과를 보면서 막연히 ‘떨어졌으면 좋겠다’라고 맹목적으로 기대하는 자나 ‘따먹지 못할것 쳐다보지도 말자’라고 하면서 등을 돌리는 자와는 천하지대사를 논할수 없다.
비록 지금은 힘이 없고 미약 하여 어떻게 할지 잘 몰라 이렇게 저렇게 미숙하게 시도하는 자여도 꿈과 목표가 분명한 자가 나와 시작을 약속한다면 난 그와 같이 끝가지 가서 중원평정 (중국의 중원땅을 애기한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큰 목표들을 애기함)의 꿈을 이룰것이다.